"건축시공 프로세스 한눈에 살펴보자"
안녕하세요. 복덩이 박 소장입니다. 디벨로퍼라면 기본적으로 건축물 공사의 순서를 알고 있어야 할 텐데요. 그래서 오늘은 디벨로퍼를 위한 <건축시공 프로세스>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건축시공은 계약, 철거공사, 측량, 가설공사, 토 공사, 기초 공사, 골조 공사, 마감 공사 순서로 진행됩니다. 각 단계별 세부적인 내용은 아래 정리해 보았습니다.
1. 계약
계약은, 발주자 - 원도급자 - 하도급자 사이의 건축시공을 위한 계약을 말합니다.
공사의 발주자는 공사를 위탁하기 위해 공고를 내고, 낙찰받은 원도급자는 다시 하도급자와 계약하여 공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여기서 한번 더 재하도급을 하게 되면 불법하도급이 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2. 철거 공사
철거공사란, 대지에 기존 건축물이나 시설이 있을 때 이를 해체하고 무너뜨려 없애는 공사를 말합니다. 철거는 지자체에 미리 신고해야 하며, 철거 후에는 멸실 신고를 합니다. 철거 전에는 주변의 주민분들에게 양해를 구하고 소정의 선물을 전달하는 등 미리 조치를 취해야 민원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3. 측량
측량이란, 대지의 경계를 측정 및 확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여기에는 철거 후에 실시하는 경계복원측량과 건축시공 후에 실시하는 지적현황측량이 있습니다. 측량은 토지의 소유권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분명히 해두어야 향후에 탈이 없습니다.
4. 가설 공사
가설공사란, 건축시공을 하는 동안 임시로 필요한 시설물을 만드는 공사를 말합니다.
가설공사에는 직접 가설공사와 간접(공통) 가설공사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비계, 동바리 등을 설치하는 것을 직접 가설공사라고 하며, 가설사무실이나 안전 교육장, 경비실, 공사 구역 경계 및 팬스 등은 간접(공통) 가설공사라고 합니다. 가설공사의 기준은 공사 시기나 지자체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으므로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5. 토 공사
토공사란, 안전한 공사를 위해 흙(땅)을 다지는 공사를 말합니다.
지반조사를 시행하여 연약한 지반은 개량하여야 하며, 주변의 건물과 밀접한 토지의 경우는 안전한 공사를 위해 흙막이 공사를 실시해야 합니다.
6. 기초 공사
기초공사란, 건축물을 지탱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지는 공사를 말합니다.
기초공사에서는 지하 바닥에 단단한 기초를 세웁니다. 연약한 지반일 경우 견고한 지반까지 하중을 전달해주기 위해 말뚝기초(pile)와 같은 깊은 기초로 시공해야 하고, 지반이 견고하고 튼튼할 때는 독립 기초나 줄기초와 같은 얕은 기초로 시공합니다.
7. 골조 공사
골조공사란, 건축물의 주된 뼈대를 세우는 공사를 말합니다.
골조공사는 현장 상황에 따라 RC구초(일반건물), 강구조 공사(중대형 건물), PC공사(대형건물) 중 선택하여 시공합니다.
8. 마감 공사
마감공사란, 건축물의 골조가 완성된 후 내부와 외부에 필요한 설비를 가설하고 치장하는 공사를 말합니다.
여기에는 조적 공사, 타일 공사, 미장 공사, 방수 공사, 도장 공사, 창호 공사, 지붕 공사, 홈통 공사, 인테리어 공사 등이 있습니다. 마감공사는 대부분 눈에 보이는 공사이므로 자재나 공사의 퀄리티에 따라 만족감의 크게 높여줄 수 있어 중요하게 생각됩니다.
이후에는 건축물 사용승인을 받고 소유권 보존등기를 진행하게 됩니다. 이상, 건축시공 프로세스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았습니다. 더욱 세부적인 부분은 앞으로 조금씩 포스팅해보겠습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룸 방 구하는 사이트 한 눈에 비교하기! (0) | 2022.08.05 |
---|---|
보증금 못 받고, 이사해야 한다면? (0) | 2022.08.04 |
2편. 주택임대차보호법 제2조(적용범위), 적용 받는 범위는? (0) | 2019.03.30 |
1편. 주택임대차보호법 제1조(목적), 무엇을 위한 법일까? (0) | 2019.03.29 |
안양 냉천지구 재개발지역, 주거환경개선사업 진행 본격화 (3) | 2019.03.28 |
댓글